반려동물 시장 분석, 2탄 - 반려 시장 분석이 어려운 이유.
반려동물 시장 분석, 2탄 - 반려 시장 분석이 어려운 이유.
오늘은 반려동물 시장 분석 시리즈 2탄,
반려시장 분석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아마 시장이 가진 특수성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반려동물 시장의 분석이 왜 어려운지,
혹은 왜 전문 기관의 분석과 실제 시장 상황은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 원인1 - 반려가구의 수, 아직도 정리가 안되었나?
분석이 어려운 첫 번째 이유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은 반려가구의 수' 입니다.
정확한 반려가구의 수가 집계가 안되었기 때문에 시장 규모 파악에 어려움이 있죠.
2020년 통계청의 발표 이후로 국내 반려가구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습니다.
반려가구가 기존에 알려진 수치대비 절반이라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죠.
기존 630만 가구 -> 실제 310만 가구
다른 설문조사와 달리 통계청의 설문조사 대상은 400만 가구입니다. (거의 1천만명 대상임.)
( 물론 통계청 조사는 아직까지 단 한번만 이뤄졌고,
조사 직후 반려 가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시기는 코로나였기 때문에
저 역시 310만 반려가구보다는 더 많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
(출처 : 데일리벳, 국내 반려동물 양육인구 비율 28.2%…역대 최고)
그리하여 아직도 1500만이 넘는 반려가구,
양육비율 30%라는 수치를 믿고 계시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참고로 통계청의 2차 조사는 올해 진행하여 결과는 내년에 발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내년이면 정확한 반려 가구를 알 수 있겠네요.
(개인적으로는 17~18%정도 예상 합니다.)
※ 원인 2 -인간들의 시장에 종속되어 있는 반려시장
반려 시장의 일부 항목들은 다른 서비스에 종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려인 /비반려인 할 것 없이 인간들이 소비 주체가 되는 재화와 서비스에
종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시장 분석이 더 어렵습니다.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마트나 다이소에서 파는 사료와 간식, 반려용품.
2. 쿠팡,네이버 등에서 파는 사료와 간식, 반려용품
3. 음식점/카페에 종속되어 있는 반려동물 동반 식당/카페.
4. 여행업/숙박업에 종속되어 있는 반려동물 동반 펜션/호텔.
5. 기타 반려동물 동반 입장이 가능한 공간 (멀티플렉스, 유원지, 공원 등)
- 반려동물로 인한 방문인지 아닌지 확인이 어려움.
이처럼 모든 도매 소매업 지점에 반려동물 카테고리가
얼마나 팔렸는지 물어볼수도 없는 노릇이기에
종속된 반려시장 특성상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 상당히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 원인 3 - 산업 분야가 너무 많다
반려동물 시장은 한 가지의 카테고리에 과도하게 많은 분야가 포함되고 있습니다.
다른 산업과 비교해보면 그 차이가 더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다른 산업 분야는 다음과 같이 비교적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 숙박업계: 플랫폼 / 숙박업소
- 이미용업: 플랫폼 / 미용실
- 배달업계: 플랫폼 / 음식점 / 배달
- 캠핑업계: 플랫폼 / 캠핑장소 / 용품점 / 온라인스토어
- 의류업계: 플랫폼 / 오프라인 매장 / 온라인스토어
이처럼 대부분의 산업은 주요 참여자(플레이어)가 명확하게 나뉘며,
시장 구조도 상대적으로 단순합니다. 따라서 시장 분석이 비교적 수월합니다
하지만 반려동물 시장은 다릅니다.
‘반려동물’이라는 단일 테마 아래,
사실상 서로 다른 업종들이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어 존재합니다.
(출처 : 주간동아 , 이학범 , 더는 블루오션 아닌 펫산업)
동물병원 / 펫숍(분양샵) / 반려동물 미용실 / 반려동물 위탁관리 (펫호텔, 유치원 등)
애견동반공간 / 반려용품점 / 온라인 스토어 / 펫보험 / 동물 장례식장 등등..
이 모든 다양한 업종이 하나의 시장 범주로 묶여 규모가 산정됩니다.
다른 업종과 비교해봐도 상당히 많은 분야가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여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업종이 섞여어 분석 난이도는 더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 생각보다 먹을것이 없는 반려시장...?
반려시장을 분석하는 주관사들이 생각보다 언급을 안하셔서 놀랐습니다.
사실 반려시장 분석을 언급하면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구요.
반려동물 시장이 가장 독특한 점은 생각보다 파이가 작다는 것입니다.
규모가 아무리 커져도 7~80% 정도의 파이는 정해져 있습니다.
바로 사료 / 미용 / 동물병원입니다.
7~80%의 시장은 이미 정해져있는기 때문에,
시장의 한계점이라고도 볼 수 있고
생각보다 파이가 작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유튜브 채널 : 언더스탠딩 - 펫산업은 이래서 돈이 안됩니다 _이재용 회계사 )
경제유튜브 "언더스탠딩"에서 펫 산업에 관해 다뤘던 적이 있었습니다.
기업 분석으로 유명하신 이재용 회계사님께서 출연하셨는데,
회계사의 시점으로 분석한 반려시장 데이터를 보면 다음 말씀을 하십니다.
- 약 4조 5천억원의 반료동물 시장. 그 중 동물병원 2조, 사료 2조원을 추정(2023년 기준)
- 이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에서는 먹을게 별로 없다.
거의 7~80% 이상의 파이를 두 분야가 점유한다는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동물병원은 신규 사업자가 개입하기 불가능한 영역이고,
펫푸드는 제조 대기업이나 쿠팡과 같은 유통 공룡들이랑 경쟁해야하기 때문에
사실상 시장 진입이 어렵다고 볼 수 있죠.
그럼 20~30% 시장이 남는데, 파이를 나눠야 하는 분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반려동물 미용
2. 반려용품 (장난감 / 생활용품 / 전자제품 / 의류 )
3. 반려동물 위탁관리 (강아지 유치원, 펫 호텔, 위탁관리 등)
4. 반려동물 분양
5. 반려동물 기타 케어 (훈련, 장례, 운송)
6. 펫 보험
7. 기타 서비스 (여행, 예약대행 등)
시장에 먹을게(?) 별로 없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그리하여 반려시장은 다른 산업군과 달리 시장 분석을 할 때,
전체 규모 대비 20%~25% 정도로 기준을 잡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 합니다.
※ 요약 - 반려시장의 분석이 어려운 이유
1. 아직도 정확한 반려 가구 집계가 안되어 시장 규모 파악이 어렵다.
2. 반려시장은 인간들의 소비 시장에 종속되어 있기에 분석이 어렵다.
3. 반려동물 시장은 하위 분야가 너무 많다.
4. 시장 규모의 70~80%는 동물병원과 펫푸드 업계가 가져간다.
■ 마치며
저희도 플레이어지만, 반려시장은 분석하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입니다.
통계는 엉망이지, 종속되어있는 시장이지, 생각보다 나눠먹을 파이는 적지...
엎친데 덮친격으로 올해부터는 시장 성장의 둔화까지 찾아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절망은 금물!
아직도 사랑으로 반려동물을 돌보고 있는 가족들이 많이 있다는 점!
그리고 앞으로도 충분히 기회가 찾아올 수 있다는 점 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반려시장의 미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분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추천 |
---|---|---|---|---|---|
자연이야기 | 자연생태계 - 습지와 늪지대 - [0] | M드루이드 | 25.08.22 | 147 | 0 |
콘텐츠 | 환상의 동물 - 동양편[0] | M모니터링맨 | 25.08.13 | 178 | 0 |
콘텐츠 | 환상의 동물 - 서양편[0] | M모니터링맨 | 25.08.13 | 204 | 0 |
콘텐츠 | 도지(DOGE)코인은 실존하는 시바견에서 생긴 걸 아시나요?[0] | M모니터링맨 | 25.08.01 | 213 | 0 |
콘텐츠 | 장애인 도우미견의 역할과 훈련 과정 - 장애인 도우미견 시리즈 2탄![0] | M드루이드 | 25.07.30 | 198 | 0 |
콘텐츠 | 장애인 도우미견의 종류 -리트리버 말고도 장애 보조견이 있다???-[0] | M드루이드 | 25.07.24 | 205 | 0 |
동물이야기 | X-Men의 울버린은 잊어라, 고독한 사냥꾼 울버린[0] | M모니터링맨 | 25.07.17 | 166 | 0 |
콘텐츠 | 오프라인 반려용품 스토어 프랜차이즈들을 알아보자 ![0] | M드루이드 | 25.07.15 | 203 | 0 |
콘텐츠 |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2탄, 반려동물 서비스 플랫폼 -[0] | M드루이드 | 25.07.04 | 227 | 0 |
콘텐츠 |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1탄, 반려동물 이커머스 -[0] | M드루이드 | 25.07.03 | 229 | 0 |
동물이야기 | 날지 못하는 앵무새가 있다? 카카포[0] | M모니터링맨 | 25.06.26 | 209 | 0 |
뉴스/정책 |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1] | M드루이드 | 25.06.24 | 223 | 0 |
동물이야기 | 황폐한 사막의 요정, 사막여우[0] | M모니터링맨 | 25.06.23 | 226 | 0 |
강아지 Tip | 강아지 고가의 고난이도 수술 종류와 수술비[0] | M드루이드 | 25.06.10 | 352 | 0 |
콘텐츠 | 국내 동물보호 단체들을 알아보자 - 국내 동물보호단체 리스트와 후원 규모 -[0] | M드루이드 | 25.06.10 | 296 | 0 |
자연이야기 |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0] | M드루이드 | 25.05.30 | 305 | 0 |
동물이야기 | 호주의 주머니 동물들 (캥거루, 왈라비, 쿼카 등) [0] | M드루이드 | 25.05.15 | 342 | 0 |
동물이야기 | 하루 20시간을 자는 동물, 코알라를 알아보자[0] | M모니터링맨 | 25.04.24 | 310 | 0 |
동물이야기 | 엄청난 점프력의 소유자, 퓨마[0] | M모니터링맨 | 25.04.15 | 360 | 0 |
뉴스/정책 | 제 3차 동물복지 종합 계획 (2025~2029), 농림축산식품부 [0] | M드루이드 | 25.04.02 | 36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