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콘텐츠

야생동물 관련 신고는 어디에 해야할까? - 길에서 야생동물을 주웠을 경우

댓글 0

조회 1892

2024-05-22 17:24:44

야생동물 관련 신고는 어디에 해야할까? - 길에서 야생동물을 주웠을 경우


 

만약 어미가 없는 어린 야생동물을 발견했다면, 

 

혹은 

 

다친 야생동물을 발견했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산을 좋아하시거나 자연친화적인 공간을 즐겨 찾으시는 분이라면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야생동물 관련 신고는 어디에 해야할까? - 길에서 야생동물을 주웠을 경우

(아기새야 너 왜 여기있니?? 길을 잃었니??)


곤경에 처한 야생 동물들을 마주하게 된다면  그냥 두거나, 관련 기관에 신고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구조를 하는것은 더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거든요. 

 

그럼 왜 구조를 권장하지 않는지에 대해서와 

 

신고를 하는 방법과 어디다 신고를 해야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 그리고 마지막에는 동물 사체를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 그냥 신고하자! - 직접 야생동물의 구조를 권장하지 않는 이유 


만약 우리가 산길을 거닐다가 다친 동물을 발견하거나, 

 

어미를 잃고 방황하는 어린 동물들을 본다면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건 인간으로써 당연한 일이겠지요. 

 

그런데…. 조금 잔인한 이야기로 들릴수도 있겠지만

 

야생동물이 어떠한 상황에 놓여있더라도 우리 인간은 개입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선의의 마음으로 도와주려는 행동이 오히려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도와주려했는데… 미안해…!! )

 

상황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야생동물 관련 신고는 어디에 해야할까? - 길에서 야생동물을 주웠을 경우

 

산길을 다니다가 바닥에 가만히 앉아 날지 못하는 아기 새를 발견했다면,

 

집을 잃어버린 안타까운 아기 새라고 판단하여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주변에 부모 새가 지켜보는 가운데 비행 교육 중 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모르고 구조할 마음으로 새를 데려간다면 부모 새의 입장에서는 아이가 납치당한 겁니다.

 

이와 관련해서 자세한 내용은 유튜버 새덕후님의 영상 "땅에 떨어진 아기 새! 구조하지마세요"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다친 동물을 발견했다면 어떨까요? 내가 나서서 구조를 해줘야 할까요?

 

 

야생동물 관련 신고는 어디에 해야할까? - 길에서 야생동물을 주웠을 경우

 

 

야생동물 관련 신고는 어디에 해야할까? - 길에서 야생동물을 주웠을 경우


위의 뉴스 기사처럼 선의의 마음으로 도와주려는 행동이 

 

동물에게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는 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게다가 다친 상태의 야생동물은 매우 예민한 상태입니다.

 

그리하여 도움을 주려고 가까이 다가갔다가 공격을 당할수도 있습니다. 

혹은 수인공통 전염병에 걸린 동물이라면 위험할 수도 있죠. 

 

위의 사례처럼 선의의 마음으로 도움이 주려는 행동이 

 

오히려 안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직접 대응을 하기 보단 전문 기관에 바로 신고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지역 별 야생동물구조센터 연락처 

 

야생동물 구조센터는 도 단위의 지역별로 있으며 주로 근무시간에만 운영합니다. 

(보통 월-금 09시 ~ 17시 , 센터마다 다를 수 있음)

 

* 2024년 5월 22일 기준. 

 

지역 센터명 연락처
서울 서울시야생동물센터 02-880-8659
경기 경기도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031-8008-6212
경기 경기북부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031-8030-4451
인천 인천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032-858-9702
충북 충청북도야생동물센터 043-249-1455
충남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010-6672-8275
전북 전북야생동물구조센터 063-850-0983
전남 전남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061-479-4800
광주 광주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062-613-6651
경북 경상북도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054-840-8251
부산 부산야생동물치료센터 051-209-2093
울산 울산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052-256-5322
경남 경남야생동물구조센터 055-754-9575
강원 강원 야생동물구조센터 033-250-7504
제주 제주 야생동물구조센터 064-752-9982

 

- 구조센터에 전화하시더라도 시청, 구청 등 다른 연락처를 안내해주실 수도 있습니다.

 


■ 신고를 하는 방법과 유의사항 

 

야생동물구조 신고를 하는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조가 필요한 야생동물을 발견했다면, 구조센터 연락처를 확인한다.

 

2. 전화로 자세한 위치와 구조가 필요한 동물의 종류를 먼저 설명한다.

   (구조 후 보호중이라면 최초 구조지역을 꼭 알려야 한다. 나중에 방생해야 하기 때문.) 

 

3. 동물의 현재 상태를 포함하여 상황을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한다.

 

4. 구조센터 직원의 안내를 따른다. 


구조센터에서는 전달받고 난 후 상황에 따라 구조 장비와 투입 인력을 정하게 됩니다. 

 

신고 이후의 상황은 구조센터의 직원분들에게 맡기시면 됩니다.

 

***** 신고 유의사항 *****

 

야생동물의 구조는 각 지역 야생동물구조센터와 시청 구청 등의 환경 관련 부서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신고를 하셔도 반드시 출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센터의 모든 직원들이 이미 외부에서 구조 활동 중일 수도 있고

 

유해동물로 등록되어 있는 종을 신고할 경우 출동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판단은 해당 기관에서 하는 것이므로 안내에 따르시면 됩니다. 

 

 

 

■ 동물의 사체 처리는 어떻게…


야생동물의 구조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이미 죽어있는 사체를 발견했다거나, 로드킬을 했다면 어디에가 신고를 해야 할까요?

 

동물의 시체를 처리하는 곳과 야생동물구조센터와 신고를 하는 곳이 다릅니다. 

 

시체를 발견하신다면, 연락해야 할 전화번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로 도로와 도로 외 지역(아파트, 주택가, 공원 등) 의 신고 연락처가 다릅니다.

 

 

 

▶ 동물 사체 처리 신고 

 

야생동물 관련 신고는 어디에 해야할까? - 길에서 야생동물을 주웠을 경우


▶ 도로 위의 동물 사체 신고 

 

   > 고속도로 : 한국도로공사 콜센터 ( 전화번호 - 1588-2504 )

   > 일반 국도, 도로 : 환경부 환경오염신문고 ( 전화번호 - 국번없이 128

 

** 야생동물과 교통사고가 났다면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신 후 신고를 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 유튜브 사물궁이 - " 도로의 동물 사체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 걸까? " )

 

 

참고로 운전 중 로드킬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야생동물 관련 신고는 어디에 해야할까? - 길에서 야생동물을 주웠을 경우

( 출처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307 )

 

 

댓글 💬 0

💬 댓글 작성 ( 0 / 500 byte )

구분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강아지 Tip 강아지 예방접종, 백신의 종류와 접종 시기 [0] M드루이드 24.07.29 773 0
콘텐츠 또 바뀌는 분리수거 방법, 이게 맞나요? [0] M드루이드 24.07.28 648 0
동물이야기 바다의 폭군 백상아리[0] M모니터링맨 24.07.26 644 0
동물이야기 치명적으로 귀여운 수달과 해달의 차이점[0] M모니터링맨 24.07.23 841 1
동물이야기 압도적인 스피드 치타[0] M모니터링맨 24.07.17 595 0
동물이야기 인간과 가장 비슷한 유전자를 가진 침팬지[0] M모니터링맨 24.07.11 750 0
뉴스/정책 반려동물의 천국, 독일의 반려동물 관련 법[0] M드루이드 24.07.05 865 0
동물이야기 백수의 왕 사자[0] M모니터링맨 24.07.04 713 0
고양이 Tip 고양이 신부전증 (2) 검사와 분석 [0] M드루이드 24.07.01 865 0
고양이 Tip 고양이 신부전증 (1) 증상과 예방법[0] M드루이드 24.06.28 960 0
동물이야기 사바나의 청소부 하이에나[0] M모니터링맨 24.06.27 654 0
동물이야기 지구에서 제일 큰 대왕고래[0] M모니터링맨 24.06.20 781 0
동물이야기 남극의 신사 황제펭귄[0] M모니터링맨 24.06.13 637 0
동물이야기 극지방의 귀염둥이 북극여우[0] M모니터링맨 24.06.11 653 0
뉴스/정책 야생동물 전시금지제도 시행 (이제 동물 카페가 불법???) [0] M드루이드 24.06.10 672 0
콘텐츠 (동물원/식물원 제외) 동물과 관련된 전시관람 시설들[0] M드루이드 24.06.06 729 0
동물이야기 아마존의 포식자 아나콘다[0] M모니터링맨 24.06.04 668 0
동물이야기 신비한 도롱뇽 우파루파[0] M모니터링맨 24.05.30 1099 0
콘텐츠 야생동물 관련 신고는 어디에 해야할까? - 길에서 야생동물을 주웠을 경우[0] M드루이드 24.05.22 1892 0
동물이야기 나라를 상징하는 동물 - (3)[0] M모니터링맨 24.05.22 669 0
글쓰기

🚨게시글 신고🚨X

글제목

작성자

신고자

※ 다수의 신고를 받은 게시물은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허위 신고는 활동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

📨 쪽지보내기X

닉네임

닉네임 확인하기

* 닉네임을 정확히 입력해야 쪽지가 발송됩니다.

쪽지 내용 ( 0 / 500 by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