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옛날 모습 그대로?? 살아있는 화석
안녕하세요!!!
요즘 날씨도 춥고 감기도 유행한다고 하는데 다들 건강관리 잘 하시길 바라며
글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소개 해 볼 주제는
아직도 현대에 살아있는 고생물들,
흔히 살아있는 화석이라 불리우는 몇몇 동물을 소개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16년에 방영한 채널A 예능 ‘오늘의 대학생’
살아있는 화석이란 말은 일상 생활하면서 가끔씩은 들어봤을 겁니다.
특히 졸업을 못한 학번이 오래 된 대학생들은 은유적으로 살아있는 화석이라는 취급을 받기도 하죠 ㅎㅎ
그럼 살아있는 화석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화석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할까요?
화석(化石)이란?
고대의 생물들의 뼈를 비롯한 신체 부위나 발자국 같은 퇴적물들이
매몰되거나 지상에 그대로 보존되어 돌로 남아진 것을 말하며
영어로는 Fossil 이라고 합니다.
이를 토대로 고고학자들은 화석을 연구해 고대 시절을 연구하고
고생물학자들은 진화론을 연구할 때 매우 중요한 연구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공룡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밝히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이 화석이죠.
화석은 동물만 있는 건 아닙니다. 식물이 화석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오히려 식물 화석 발견은 더 많이 되고 있고
식물 화석 또한 고대의 환경이나 식생, 기후 변화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자료라고 합니다.
지구의 지질시대
그렇다면 살아있는 화석이란
고대로부터 크게 변화 없이 오늘날까지 그 모습을 거의 유지한 생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살아있는 화석으로 유명한 몇몇 동물을 알아보도록 할까요?
■ 실러캔스
실러캔스가 지구상에 출현한 것은 약 3억 9000만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약 5000만년 전 멸종했다고 여겨졌지만,
1938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견되어 20세기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큰 개체는 2m까지 자라는 경우도 있어 상당히 큰 편에 속하며
수명도 100년 가까이되는 장수 물고기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야생 실러캔스는 멸종위기등급 위급 상태로 매우 각별한 보호조치가 필요한 동물이라고 합니다.
■ 앵무조개
앵무조개는 고생대 캄브리아기(약 5억년전)부터 현재까지 이 모습으로 살아온 동물이라고 합니다.
수심이 100m ~ 300m 되는 심해에 살고 있다고 하며 죽어 있는 어류나 갑각류를 먹고 산다고 합니다.
두족류에 해당하는 동물 중에는 가장 수명이 길다고 하는데 무려 20년 가까이 산다고….
( 대왕오징어의 경우 수명이 2년 남짓입니다.)
암모나이트 화석
특히 백악기 대멸종 때 멸종한 암모나이트와 생김새가 비슷해 많이 비교가 되곤 합니다만
오히려 암모나이트쪽이 오징어나 문어에 더 가까운 생물로
이 둘은 거리가 먼 관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투구게
약 4억년 전부터 등장했다는 투구게 입니다!
‘게’라는 이름이 들어가 갑각류 같지만, 협각류로 거미나 전갈과 더 가까운 종으로
크기는 60cm 남짓하며 수명은 약 7~10년 정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피가 파란색입니다.
인간이나 동물들은 피에 철이 포함된 헤모글로빈이라 붉은색이고
투구게는 피에 구리가 포함되어 있어 푸른 빛을 띈다고 하며
이 피는 의학용으로 사용된다고 하며, 코로나19가 창궐했을 때 백신 제작에 투구게 피가 상당히 많이 사용됐다고 합니다.
마리 당 약 30% 혈액을 채취하고 다시 방생 시킨다고는 하지만
이 때문에 멸종하는 거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 바다나리
바다나리도 고생대 캄브리아기(약 5억년전)에 등장했다고 알려져 있는 동물입니다.
화석으로 보고 된 종은 5,000종에 달하며 현재는 약 600여종이 살아남았다고 하며
평소에는 바위나 산호초에 붙어서 지내지만 촉수로 헤엄을 치기도, 바닥을 기기도 합니다.
주 먹이는 플랑크톤으로 얕은 연안에서도 발견되지만 무려 심해 9,000m에서도 발견되기도 한답니다.
■ 라오스바위쥐
해양동물에서 벗어나 드디어 육지동물입니다.
2005년에 발견 당시 새로운 종 인줄 알았지만 약 1100만년 전에 멸종한 것으로 알려진
디아트미스과(Diatomyidae)에 속한 동물로 밝혀졌습니다.
해양 생물에 비해 그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지만 1,100만년이라는 시간도 대단하죠.
여담으로 라오스 주민들은 수십 년 동안 육류 시장이나 음식점에서 단골 메뉴였을 정도로 흔했다고 합니다.
■ 오리너구리
백악기인 약 1억년에 등장했다고 알려진 오리너구리 입니다.
아직도 수수께끼에 쌓인 동물로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알을 낳는 포유류,
단공류라는 점을 뽑을 수 있겠습니다.
그 외 특징도 많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제가 예전에 작성했던
독보적인 외모 오리너구리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어떤 동물들이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우는지 알아보았는데요
물론 이들 말고도 살아있는 화석이라 불리는 동물이 있습니다만
오늘 소개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끝!!!!
구분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추천 |
---|---|---|---|---|---|
뉴스/정책 | 반려동물 언론사를 알아보자 ! (반려동물 관련 신문사)[0] | M드루이드 | 25.03.08 | 272 | 0 |
동물이야기 | 깊은 바다 속 미스터리 심해어[0] | M모니터링맨 | 25.02.19 | 302 | 0 |
동물이야기 | 최강의 수생 사냥꾼 자이언트 수달[0] | M모니터링맨 | 25.02.12 | 289 | 0 |
강아지 Tip | 강아지를 키우면 돈이 얼마나 들까? - 강아지 월 평균 양육비[0] | M드루이드 | 25.02.12 | 770 | 0 |
동물이야기 | 아프리카 강을 지배하는 끝판왕 나일악어[0] | M모니터링맨 | 25.02.05 | 230 | 0 |
동물이야기 | 세계에서 가장 큰 사슴 - 말코손바닥사슴(무스)[0] | M드루이드 | 25.02.04 | 315 | 0 |
뉴스/정책 | 반려동물 시장 분석, 3탄 - 반려 시장의 전망[0] | M드루이드 | 25.02.03 | 258 | 0 |
뉴스/정책 | 반려동물 시장 분석, 2탄 - 반려 시장 분석이 어려운 이유.[0] | M드루이드 | 25.02.02 | 251 | 0 |
뉴스/정책 | 반려동물 시장 분석, 1탄 - 반려동물 시장 현황 [0] | M드루이드 | 25.02.02 | 313 | 0 |
동물이야기 | 인간과 전쟁에서 승리한 에뮤[0] | M모니터링맨 | 25.01.24 | 242 | 0 |
동물이야기 |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새 화식조[0] | M모니터링맨 | 25.01.21 | 226 | 0 |
동물이야기 | 바다의 유니콘 일각고래[0] | M모니터링맨 | 25.01.15 | 685 | 0 |
콘텐츠 | 영생과 불멸의 상징 - 십장생(十長生)[0] | M드루이드 | 25.01.15 | 767 | 0 |
동물이야기 | 천연기념물의 종류 (동물 리스트)[0] | M드루이드 | 25.01.09 | 1136 | 0 |
동물이야기 | 아직도 옛날 모습 그대로?? 살아있는 화석[0] | M모니터링맨 | 25.01.08 | 669 | 0 |
동물이야기 | 2급 멸종 위기종 - 2급 멸종 위기종 종류 [0] | M드루이드 | 25.01.08 | 820 | 0 |
동물이야기 | 1급 멸종위기종 - 1급 멸종 위기종 종류 [0] | M드루이드 | 25.01.08 | 888 | 0 |
뉴스/정책 | 2025년, 올해부터 바뀌는 반려동물 관련 법 [0] | M드루이드 | 25.01.06 | 786 | 0 |
동물이야기 | 알고 있으면 쓸모 있는 지식 십이지 동물들[0] | M모니터링맨 | 25.01.06 | 660 | 0 |
콘텐츠 | 유명한 야생동물 및 이색동물 인플루언서 유튜버[0] | M드루이드 | 25.01.06 | 66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