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산책 시리즈 1탄 - 첫 산책 시기와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강아지들이 제에에에일 좋아하는 산책을 주제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산책시리즈 1탄은 아가견을 양육하고 계신
초보 멍맘 멍대디 분들께서 보시면 좋은 글입니다.
(이미 프로산책러라면 뒤로가기...)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처음 산책을 시작하는 시기는 언제?
첫 산책 시기는 어디에서나 갑론을박이 장난이 아니죠.
왜냐하면 강아지의 예방접종 시기와 사회화 시기가 맞물리기 때문입니다.
건강을 생각한다면 5차 예방접종이 다 끝난 후 산책을 시작하는게 맞지만
일반적인 예방접종이 완료되는 5차접종(생후 3~4개월)까지 기다리면
가장 중요한 사회화 시기(생후 2~3개월)을 놓치게 됩니다.
건강이 우선이냐, 사회화가 우선이냐의 문제죠.
첫 산책 시기는 애석하게도 정답이 없습니다.
예방접종 할 때 수의사분께 조언을 구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뭐 어쩌라고..? 그래서 첫 산책은 언제가라고?
다른 분들은 어떤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보편적인 케이스를 적어보겠습니다.
강아지의 건강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크게 문제가 없다면
최소 3차 접종 (생후 10주 정도) 완료 후에 첫 산책을 가시는게 좋습니다.
아직 예방접종이 진행중이기 때문에 5분 ~ 10분정도 짧게, 가끔씩만 하다가
접종이 완료되면 주기와 시간을 서서히 늘려주시면 됩니다.
첫 산책은 아이가 잔뜩 겁을 먹었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적이 드문 시간대에 잠깐만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누군가가 혹은 다른 강아지가 다가온다면 감염의 위험이 있으니
최대한 접촉을 피하거나 지나가실때 까지 들어서 안아주세요.
마지막으로 산책간 강아지가 뭘 먹거나 다치지 않도록 한시도 눈을 떼지 마시고
몸 상태가 안좋아보이면 즉시 귀가하셔야 됩니다.
■ 목줄만 하면 얘가 왜이래..?
겁이 많은 아이들은 첫 산책부터 못 나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목줄에 아직 익숙치 않은 강아지 아가들은 몸에 뭔가를 두르는게 낯설어
몸을 비틀며 목줄을 거부하거나 물어 뜯기도 하고
심하면 견주님께 입질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땐 목줄에 익숙해지도록 집에서 먼저 목줄을 차는 연습부터 해주세요.
처음엔 목줄(혹은 하네스)를 차는 연습부터 시작해서 1~2시간 목줄을 찬 상태에서
생활하기도 해보고, 리드줄을 달고 집 안에서 같이 걸어보며
줄과의 동행에 익숙해지는 연습을 하시다가 완료되면 산책을 나가시면 됩니다.
물론 처음부터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문제가 없겠지만요.
■ 움직일 생각이 없는 산책 초보 강아지
드디어 목줄과 친해져서 나갈라고 밖에 나갔는데..!! 읭?
철푸덕 앉아서 움직이질 않는다면...??
아직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선은 복도부터 시작하여, 계단, 집 앞 등에서
가볍게 외부 환경에 점차 적응하는 연습을 하도록 도와주세요.
하루 만에 이 과정을 다 거치는 것보다 오늘은 복도, 다음은 계단 근처까지,
그다음은 집 바로 앞 공터에 잠깐. 이런 식으로 점차 이동 범위를 늘려 나가는게 좋습니다.
억지로 끌고 나가려고 하면 새롭고 불안한 환경에 놓여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어차피 적응하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나가자고 졸라댈겁니다.
※ 상업적 목적이 아니라면 퍼가기 허용 됩니다. 대신 출처를 꼭 표기해주세요
구분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추천 |
---|---|---|---|---|---|
콘텐츠 | 도지(DOGE)코인은 실존하는 시바견에서 생긴 걸 아시나요?[0] | M모니터링맨 | 25.08.01 | 52 | 0 |
동물이야기 | 한국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0] | M모니터링맨 | 25.08.01 | 60 | 0 |
콘텐츠 | 장애인 도우미견의 역할과 훈련 과정 (장애인 도우미견 2탄)[0] | M드루이드 | 25.07.30 | 63 | 0 |
콘텐츠 | 장애인 도우미견의 종류 -리트리버 말고도 장애 보조견이 있다???-[0] | M드루이드 | 25.07.24 | 77 | 0 |
동물이야기 | X-Men의 울버린은 잊어라, 고독한 사냥꾼 울버린[0] | M모니터링맨 | 25.07.17 | 76 | 0 |
콘텐츠 | 반려동물 프랜차이즈 스토어를 알아보자 ![0] | M드루이드 | 25.07.15 | 88 | 0 |
콘텐츠 |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2탄, 반려동물 서비스 플랫폼 -[0] | M드루이드 | 25.07.04 | 117 | 0 |
콘텐츠 |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1탄, 반려동물 이커머스 -[0] | M드루이드 | 25.07.03 | 124 | 0 |
동물이야기 | 날지 못하는 앵무새가 있다? 카카포[0] | M모니터링맨 | 25.06.26 | 114 | 0 |
뉴스/정책 |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0] | M드루이드 | 25.06.24 | 132 | 0 |
동물이야기 | 황폐한 사막의 요정, 사막여우[0] | M모니터링맨 | 25.06.23 | 112 | 0 |
강아지 Tip | 강아지 고가의 고난이도 수술 종류와 수술비[0] | M드루이드 | 25.06.10 | 181 | 0 |
콘텐츠 | 국내 동물보호 단체들을 알아보자 - 국내 동물보호단체 리스트와 후원 규모 -[0] | M드루이드 | 25.06.10 | 157 | 0 |
자연이야기 |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0] | M드루이드 | 25.05.30 | 155 | 0 |
동물이야기 | 호주의 주머니 동물들 (캥거루, 왈라비, 쿼카 등) [0] | M드루이드 | 25.05.15 | 200 | 0 |
동물이야기 | 하루 20시간을 자는 동물 코알라[0] | M모니터링맨 | 25.04.24 | 211 | 0 |
동물이야기 | 엄청난 점프력의 소유자 퓨마[0] | M모니터링맨 | 25.04.15 | 236 | 0 |
뉴스/정책 | 제 3차 동물복지 종합 계획 (2025~2029)[0] | M드루이드 | 25.04.02 | 258 | 0 |
동물이야기 | 야생동물들의 크기, 2탄 - 해양 동물의 크기[0] | M드루이드 | 25.04.02 | 221 | 0 |
동물이야기 | 야생동물들의 크기, 1탄 - 육상 동물의 크기[0] | M드루이드 | 25.03.16 | 235 | 0 |